MRL Seminar

SPRING 2016

Instructor

Jehee Lee

E-mail: jehee (at) mrl (dot) snu (dot) ac (dot) kr

Office: 302-325

Phone: 880-1845

Teaching Assistant

Kyungho Lee

Email: khlee (at) mrl (dot) snu (dot) ac (dot) kr

Office 302-312-1

Phone: 880-1864

Class hours

Friday, 10:30 to 12:30

Class Room

Building 302, Room 309 (Friday)

 

Schedule

Week 1

3 / 25

 (양경용) Legolization: Optimizing LEGO Designs SIGGRAPH ASIA 2015

(박황필) Structure and Appearance Optimization for Controllable Shape Design SIGGRAPH ASIA 2015

Week 2

4 / 1

(박준호) 연구진행상황 발표

(유리) To Stylize or not to Stylize? The Effect of Shape and Material Stylization on the Perception of Computer-Generated Faces SIGGRAPH ASIA 2015

(민세희) The stitched puppet: A graphical model of 3D human shape and pose CVPR 2015

Week 3

6 / 3

(현경렬) Let there be Color!: Joint End-to-end Learning of Global and Local Image Priors for Automatic Image Colorization with Simultaneous Classification SIGGRAPH 2016

(이경호) Guided Learning of Control Graphs for Physics-based Characters Transactions on Graphics 2016

(조동철) Task-based Locomotion SIGGRAPH 2016

Week 4

6 / 17

(박준호) The Sketchy Database: Learning to Retrieve Badly Drawn Bunnies SIGGRAPH 2016

(김관유) High-contrast Computational Caustic Design SIGGRAPH 2014

(박정수) Spectral Style Transfer for Human Motion between Independent Actions SIGGRAPH 2016

Week 5

7/ 1

(원정담) SketchiMo: Sketch-based Motion Editing for Articulated Characters SIGGRAPH 2016

(박황필) Example-based Plastic Deformation of Rigid Bodies SIGGRAPH 2016

(윤기범) Fidelity vs. Simplicity: a Global Approach to Line Drawing Vectorization SIGGRAPH 2016

Week 6

8 / 12

(이재동) Mapping Virtual and Physical Reality SIGGRAPH 2016

(양경용) Efficient and Precise Interactive Hand Tracking through Joint, Continuous Optimization of Pose and Correspondences SIGGRAPH 2016

Week 7

8 / 26

(김용성) Lightweight Eye Capture Using a Parametric Model SIGGRAPH 2016

(이승환) Interactive Acoustic Transfer Approximation for Modal Sound SIGGRAPH 2016

(박수환) Unified Motion Planner for Fishes with Various Swimming Styles SIGGRAPH 2016

Week 8

9 / 9

(현경렬) Interactive Sketching of Urban Procedural Models SIGGRAPH 2016

(양경용) Transfiguring Portraits SIGGRAPH 2016

(유리) Artist-Directed Dynamics for 2D Animation SIGGRAPH 2016

Week 9

9 / 30

(김관유) Efficient 3D Object Segmentation from Densely Sampled Light Fields with Applications to 3D Reconstruction Transactions on Graphics 2016

(이승환) Beyond Developable: Computational Design and Fabrication with Auxetic Materials SIGGRAPH 2016

(박종호) Trust Region Policy Optimization

Week 10

10 / 14

(이경호) Gesture3D: Posing 3D Characters via Gesture Drawings SIGGRAPH ASIA 2016

(이재동) Perspective-aware Manipulation of Portrait Photos SIGGRAPH 2016

(박준호) Generating Dynamically Feasible Trajectories for Quadrotor Cameras SIGGRAPH 2016

Week 11

10 / 28

(민세희) High-Fidelity Facial and Speech Animation for VR HMDs SIGGRAPH ASIA 2016

(원정담) High-Dimensional Continuous Control Using Generalized Advantage Estimation

(윤기범) Wire Mesh Design SIGGRAPH 2014

Week 12

11 / 11

(이세영) FlexMolds: Automatic Design of Flexible Shells for Molding SIGGRAPH ASIA 2016

(박수환) Fast and Robust Inversion-Free Shape Manipulation Eurographics 2016

(박황필) Data-driven Inverse Dynamics for Human Motion SIGGRAPH ASIA 2016

Week 13

11 / 25

(김용성)

(조동철)

Week 14

 

 

Week 15

 

 

 

Here are papers that we may read for class.

Siggraph 2016 papers link

Siggraph 2015 asia papers link

Siggraph 2015 papers link

Siggraph 2014 asia papers link

Siggraph 2014 papers link

Siggraph 2013 asia papers link
Siggraph 2013 papers link
Siggraph 2012 asia papers link
Siggraph 2012 papers link
Siggraph asia 2011 papers link
Siggraph 2011 papers link
Siggraph 2010 papers link
Siggraph 2009 papers link
Siggraph 2008 papers link


발표 토론

·         시간 편의 논문에 대한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모든 수강생들은 2 정도의 논문을 발표하고 토론을 주도해야 한다. 발표자가 먼저 논문에 대해 10분에서 15 정도의 시간 동안 논문에서 다루는 문제와 해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 수강생 전체가 참여하는 자유 토론 형식으로 진행한다.

·         모든 수강생들은 강의 토론할 논문 2편을 최소한 서론까지 읽어 논문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강의에 참여해야 한다. 본문의 내용과 결과 등은 한번 훑어보는 정도로 충분하며, 이보다 중요한 것은 나라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미리 생각해 보는 것이다. 강의에서는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해 생각하며 토론에 참여한다.

·         Saying enough without saying too much: 10분에서 15 정도의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논문의 내용을 충실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논문의 핵심적인 내용을 요약해야 한다. 먼저, 문제를 명쾌하게 설명해야 한다. 문제에 입력이 무엇이고 기대하는 출력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논문에서 제시하는 해결책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필요한 경우 이와 연관된 한두 가지의 기술적인 주제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을 덧붙인다. 발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반드시 설명해야 하는 핵심적인 주제와 생략할 있는 부수적인 내용을 구분하는 것이다.

·         발표는 원칙적으로 말로 설명하며 필요한 경우 칠판을 사용한다.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는 논문의 주요 내용을 정확한 표현으로 설명하는 연습을 위한 것으로, 그간 슬라이드의 남용으로 인해 말로 설명하기 보다는 슬라이드에 의존하는 경향을 피하고자 한다. 다만, 논문의 결과 영상과 비디오를 보여주기 위한 용도로 프로젝터를 사용할 있다. 노트북 컴퓨터는 강의 미리 준비되어 있을 예정이므로 USB 메모리 등에 필요한 자료를 담아오거나, 데이터가 너무 경우에는 최소한 강의 하루 전에 데이터를 미리 강의용 노트북 컴퓨터에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         논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토론한다.

o    다루어지는 문제가 중요한가? 문제의 중요도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있다. 일단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거나, 오랜 시간 미제로 남겨져 있었거나, 앞으로 새로운 문제들을 창조하는 기폭제 역할을 경우에 중요한 문제로 있다.

o    제시된 해결책이 적절한가? 실제로 풀고자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 일반적인 경우에 항상 적용할 있는지, 계산 시간이나 메모리 소모에 있어서 실용적인지 등을 고려한다.

o    개선할 여지가 있는가? 문제의 범위를 넓히거나, 풀기 쉬운 형태로 바꾸는 것을 고려한다. 해결책에 있어서 개선할 여지가 있는지, 혹은 제시된 해결책을 다른 문제에 적용할 있는지 등을 고려한다.

·         토론에 있어서 발표자의 역할은 (1) 질문에 대해 답을 있도록 논문의 세부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고, (2) 수강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 있는 주제를 설정하여 토론을 주도해야 한다.